본문 바로가기
신나는 주식공부/종목 집중분석

LS ELECTRIC 주가 머스크 모멘텀, 전망은

by 주소남 2025. 1. 18.

목차

    LS ELECTRIC 주가가 일론 머스크 모멘텀에 강한 상승 모멘텀을 받았습니다.

    LS ELECTRIC은 어떤 기업이고, 왜 머스크 관련주로 부각되는지, 차트로 풀어 본 주가 전망은 어떠한지 등을 체크해 보도록 하겠습니다.

     

    LS ELECTRIC(010120)은 어떤 기업?

    LS ELECTRIC
    <출처 : LS ELECTRIC 홈페이지>

     

    LS ELECTRIC은 LS의 자회사로 전력사업과 자동화 사업, 금속 사업, IT 사업 등을 하는 기업입니다.

     

    전력사업은 발전소에서 만들어진 전력에 대해 수용가까지 전력공급과 계통보호에 전반적으로 사용되는 제품을 생산하는 전력기기/시스템사업 등을 주로 합니다.

     

    또한 자동화사업은 PLC,인버터 및 자동화시스템 등 산업자동화를 위한 기기, 시스템 제품 생산과 산업용 통신기기 제조판매 서비스, 통신시스템 구축/서비스, 무선 감시 제어 및 열화상 감시 제어 시스템 사업을 하고 있습니다.

     

    LS ELECTRIC 시가총액 + PER + PBR

    LS ELECTRIC 시가총액

     

    LS ELECTRIC 시가총액은 1월 17일 종가 기준, 약 6조 6,750억원이고, PER은 31.73배(업종PER 68.17배), PBR은 3.31배 수준입니다.

     

    LS ELECTRIC 머스크 모멘텀

     

    LS ELECTRIC은 일론 머스크가 설립한 AI 기업 xAI에 전력 설비를 공급하게 된다는 소식에 모멘텀을 받으며 전일 대비 +15.05% 상승 마감했습니다.

    xAI
    <출처 : xAI 홈페이지>

     

    LS일렉트릭이 xAI의 테네시주 멤피스 데이터센터에 배전반 부품을 공급하는 것에 더해, 마이크로소프트를 포함한 미국의 주요 IT 기업들과도 추가 공급 계약을 논의 중이라는 것 때문에 투자자들의 기대감을 받았습니다.

     

    이러한 상승세는 AI 산업 성장에 따른 데이터센터 수요 증가와 LA 산불 복구 관련 전력설비 수요 확대 전망이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 것으로 분석되는데, 이 때문에 LS그룹주와 함께 전력설비 관련주들이 지난 금요일 시장에서 좋은 모습을 보였습니다.

     

    전선 관련주 총정리

    최근 AI 반도체와 관련하여 데이터센터 수요가 폭증하고 있고, 이에 전선 관련주가 시장에서 주목 받고 있습니다. 과거 2018년 남북 관계가 괜찮았을 때, 전선 관련주를 정리한 적이 있지만 너무

    kakao777.tistory.com

    LS ELECTRIC 주가 전망

    LS ELECTRIC 주가 일봉차트

     

    LS ELECTRIC 주가 일봉차트를 체크해보면지난 11월 중순 저점 이후 최근까지 우상향 추세가 이어지고 있고, 추세선의 기울기를 계속해서 높여가며 상승 추세가 지속되고 있습니다.

     

    현재 주가 위로 아직 단기 매물 부담을 완전히 벗어나지는 못했지만 상승 추세가 워낙 좋고, 머스크 관련 모멘텀도 있었던 만큼 추가 상승에 대한 기대감이 있습니다.

     

    다만, 지난 금요일 단기간 강한 주가 상승에 따른 차익실현 물량이 나올 우려가 있는데, 하락 시 단기 매물대 하단인 21만원 부근을 종가 기준으로 이탈한다면 비교적 강한 조정이 나올 우려가 있어, 단기 대응 시에는 이 부근 이탈 여부를 체크 후 대응하는 것이 좋을 것으로 보입니다.

    LS ELECTRIC 주가 주봉차트

     

    LS ELECTRIC 주가 주봉차트를 보면 반등 추세가 지속되고 있는 가운데, 23만원 부근까지의 중장기 매물대 저항만 벗어난다면 재차 저항이 약해져 추가 상승에 대한 기대감이 있는 자리입니다.

     

    전고점 대비 약 19% 정도 차이나는데, 주가가 큰 조정을 받지 않는다면 20만원 초반대를 지지해주는지 여부가 중요할 것으로 보입니다.

     

    다만, 위에서 언급했듯이 21만원 부근을 이탈한다면 그 아래 중장기 매물대 지지라인이 약해지는 구간으로 빠지기 때문에, 10만원 중반대까지도 다시 조정 파동이 나올 우려는 있는 만큼, 이 부근 이탈시에는 중장기 대응하시는 분들도 일정 부분 비중을 유동적으로 가져가는 대응 방법이 필요할 것으로 보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