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목차
제주은행 주가가 더존비즈온의 제3자 유상증자 소식에 시장에서 부각되고 있습니다.
제주은행은 어떤 기업이고, 더존비즈온의 제3자배정 유상증자 소식과 차트로 풀어 본 주가 전망은 어떠한지 등을 체크해 보도록 하겠습니다.
제주은행(006220)은 어떤 기업?
제주은행은 1969년 제주지역 경제의 균형발전과 활성화를 위해 설립된 지방은행으로, 제주 경제의 중추적 역할을 담당하는 기업입니다.
일반대중의 예금으로 조달한 자금을 대출하는 업무와 내외국환, 보증, 어음인수, 수납 및 지급대행 등의 부수업무, 신탁업무 사업을 하고 있습니다.
제주은행 시가총액 + PER + PBR
제주은행 시가총액은 4월 18일 종가 기준, 약 3,566억원이고, PER은 168.18배(업종PER 7.81배), PBR은 0.52배 수준입니다.
제주은행 더존비즈온 제3자배정 유상증자
제주은행은 지난 4월 18일, 주요사항보고서(유상증자결정) 공시를 통해 신사업 추진을 위한 자기자본 확충, 인프라/시스템 등 물적자산 투자 및 인적자산 확충 등 운영자금을 용도로 더존비즈온에 보통주식 5,669,783주, 약 570억원 가량의 제3자배정 유상증자를 공시했습니다.
제3자배정 유상증자는 납입자가 정해져있기 때문에 단기 호재로 작용하는 경우가 많고, 실제로 제주은행은 더존비즈온의 제3자배정 유상증자 소식 이후 급등해 4월 18일, 전일 대비 +28.62% 상승한 11,100원에 종가를 마감했습니다.
또한 애프터 마켓에서는 상한가를 기록해 전일 대비 +29.90% 상승한 11,210원에 종가를 마감했습니다.
제주은행 유상증자 공시를 보면 신주 발행가액은 10,055원이고, 기준 주가는 8,162원이며 납입예정일은 4월 25일, 신주 상장 예정일은 5월 26일입니다.
더존비즈온이 받아간 제주은행 주식은 1년간 의무보유가 걸려있습니다.
유상증자 후 더존비즈온의 제주은행 지분율은 14.99%인데, 현행법상 비금융주력자가 지방은행에 투자할 수 있는 최대 수준 지분율입니다.
더존비즈온은 이번 지분투자를 통해 제주은행의 디지털부문 사업에 참여할 예정으로 투자금 전액을 디지털뱅킹 분야에 투입하고 제4인터넷전문은행 준비 과정에서 개발한 다양한 사업 모델을 접목해, 디지털 금융 플랫폼의 혁신을 선보일 계획입니다.
제주은행 주가 전망
제주은행 주가 일봉차트를 체크해보면 이동평균선 역배열 하락 추세가 이어지다가 최근 계속된 반등세로 인해 올해 하락분을 모두 잡아 먹었고, 지난 금요일 더존비즈온 제3자배정 유상증자 소식에 애프터 마켓에서는 상한가를 달성했습니다.
현재 추세가 워낙 강하고, 괴리가 크기 때문에 이런 급등 종목은 추세 보다는 매물대 움직임을 보고 대응하는 것이 좋을 것으로 보입니다.
제주은행 단기 매물대 하단은 차트상 10,650원 부근으로 체크되는데, 이를 이탈할 경우 변동성이 강해질 수 있고, 하락이 나올 때 비교적 강한 하락이 나올 수 있기 때문에, 이 부근 이탈은 유의해 대응하는 것이 좋을 것으로 보입니다.
일봉차트상 단기 매물대 저항은 약하지만 주봉차트상 중장기 매물대 저항이 강합니다.
이 말은, 일시적으로 강한 상승이 나올 수 있지만 중장기 매물대 저항을 완벽히 소화하지 못할 경우 윗꼬리를 달고 내려올 가능성도 충분히 있다고 보입니다.
때문에, 상승 시 중장기 매물대 저항을 소화하는지, 체크가 필요한데, 매물대 저항은 12,500원 부근까지 비교적 강하게 남아 있고, 120주 이동평균선이 위치한 11,430원 부근 돌파 후 지지 여부도 단기간 중요 체크 포인트가 될 것 같습니다.
제3자배정 유상증자로 인해 올해 가장 많은 거래량을 기록하고 있는 가운데, 그동안 중장기 하락을 되돌릴만한 모멘텀인지, 단기간 행보가 중요할 것으로 보입니다.
과연 더존비즈온이 제주은행 주주들에게 구세주가 될 수 있을지, 계속해서 체크해보면 좋을 것 같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