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신나는 주식공부/간단 차트 분석[ㄷ]

동원개발(013120) 주가 하락의 끝은 어디?

by 주소남 2018. 8. 19.

목차

     

    행복한 주말들 보내고 계신지 모르겠습니다. 40도를 넘는 폭염을 겪다보니 이번 주말은 35도 아래로 예년보다 더운데도 불구하고 체감상 선선한 주말이 되고 있는 것 같습니다.

     

    이번시간에 소개해드릴 기업은 중소형 건설 주식 동원개발(013120) 입니다. 동원개발은 건설업 및 주택공급업 등을 목적으로 1978년 설립된 기업으로, 1994년 코스닥 시장에 상장한 기업입니다.

     

    주택전문 1군 종합건설 기업으로 학교와 빌딩, 도로, 교량 등 토목, 건축공사업 및 주택(APT) 공급 사업을 하며 주요 영업지역은 부산, 경남, 수도권 지역입니다.

     

    자체 주택사업 및 재개발 그리고 재건축 시장이 주요 목표 시장으로, 2017년 동원개발의 시공능력평가액은 9140억원으로 전국 38위 수준입니다.



    간단 차트 분석 구독 전 아래 유의사항을 반드시 필독 해주시길 바랍니다.

     

    주소남의 간단 차트 분석 필독 공지

    같은 종목이라도 대응하기 마련 [분할 매매의 중요성]


     

     

     

    동원개발

    100일간 주가 일봉차트를 보면 지난 5월 15일 단기 고점을 형성하고 이후로 6월 말까지 하락이 이어졌으며, 이후에는 3000 후반 부근을 지지해주면서 단기 이동평균선들을 밀집시켰습니다.

     

     

    현재가 아래로 어느 정도 매물대 지지라인이 형성되어 있지만, 중장기 하락추세가 완전히 끝난 지점으로 보기에는 무리가 있기 때문에 단기적으로 보는 분들은 특히 최근 저점인 3770 부근 이탈시 손절한다는 생각으로 대응하는 것이 좋습니다.



    최근 유난히 양봉이 많이 보이고, 이는 시초가보다 종가가 좋다는 이야기로, 진입한다면 시초가 공략이 좋으며, 단기적으로 보고 진입한다면 목표가는 매물대 저항이 강해지는 4300 부근으로 설정해 놓으면 좋을 것 같습니다.

     

    하지만 하락추세가 완전히 멈춘 지점은 아니기 때문에 전저점 이탈은 하지 않아야 되도록 주가가 빠르게 회복할 수 있기 때문에 단기적으로 보시는 분들은 전저점을 유의할 필요가 있습니다.

     


     



    동원개발 주가

    주봉차트를 보니 지난해 10월부터 거의 1년 가까이 주가가 지속적으로 하락하고 있습니다. 지난해 초부터 이어져오는 추세선을 올해 2월 이탈했고, 이후로 일시적인 반등이 있기는 했지만 5월을 기점으로 주가가 무너졌습니다.

     

     

    이번에 주가가 5주 이동평균선을 강하게 돌파하는 장대 양봉을 보이며 일시적으로 반등이 나오고 있지만, 주봉차트상 매물대가 아래보다는 위에 많이 포진되어 있습니다.

     

    매물대 저항이 위에 가득하다는 것은 대부분 물린 사람들이 많고, 위로 상승할 때 저항이 강하다는 것을 의미하며, 특별한 상승 모멘텀으로 수급이 붙지 않는 이상 상승하더라도 비교적 천천히 오랜 시간 상승이 나온다는 점입니다.

     

    특히 주봉차트상 추세는 실적과 관련이 있는데, 동원개발은 아쉽게도 자체 분양 사업 부진으로 올해 반기 누적 영업이익이 지난해 약 823억에서 올해 약 575억원으로 줄어들었습니다.

     

    실적 성장성이 좋지는 않지만 그래도 꾸준히 흑자를 기록하고 있는 기업이고, 부채비율도 높지는 않기 때문에 만일 손실이 크신 분들이라면 차라리 저점을 확인할 때까지 추가진입을 미뤄놓고 대응하는 것도 방법입니다.

     

    즉, 중장기적으로 보고 추가진입 여력이 있다면 일봉차트상 손절라인에서 대응하는 것 보다는 이탈 후 저점이 잡히고 확실한 반등 자리라고 생각할 때 추가진입하여 평단가를 내려 놓고 대응할 필요가 있습니다.

     

    중장기적으로 대응하실 분들 중 현재 시점을 반등자리라고 생각하고 추가진입한다거나, 추가진입을 할 여력이 없다면, 일봉차트상 저점 즉, 52주 신저가인 3770 부근 이탈시 비중을 절반 정도로 줄여놓았다가, 우선 변동성 확대 구간 이후 저점이 확인된 상태에서 재진입하는 것도 적절한 대응 방법이 될 수 있을 것 같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