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럼피스킨병 관련주 대성미생물 주가가 매물대 저항을 뚫고 상승할 수 있을지 귀추가 주목되고 있습니다.
대성미생물은 어떤 기업이고, 왜 럼피스킨병 관련주로 부각되는지, 차트로 풀어 본 주가 전망은 어떠한지 등을 체크해 보도록 하겠습니다.
대성미생물(036480)은 어떤 기업?
대성미생물은 동물용의약품 생산 등을 주요 사업으로 하는 기업입니다.
예방백신, 항생제, 항균제, 구충제, 영양제, 해열진통소염제, 생균효소제, 면역증강제, 소독제 등 각종 동물용의약품 150여종을 제조, 판매하고 있습니다.
올해 3월 기준, 백신, 항생제, 영양제 등 동물용 의약품 150여 종 생산, 판매 중에 있고, 국내 200여개 판매 대리점 확보하고 있으며 아시아, 유럽 등(6개국)에 백신, 주사제 등을 수출하고 있습니다.
대성미생물 시가총액 + PER + PBR
대성미생물 시가총액은 10월 2일 종가 기준, 약 376억원이고, PER은 22.10배(업종PER 211.16배), PBR은 1.02배 수준입니다.
럼피스킨병 발생, 대성미생물 럼피스킨병 대장주 역할 할까
우리나라 증시가 휴장한 10월 3일, 농림축산식품부는 강원 양양 소재 한우농장에서 럼피스킨이 발생했다고 발표했습니다.
강원도는 이날 오후 8시 양양 강현면의 한 한우농장에서 신고된 럼피스킨에 대한 정밀검사를 실시한 결과, 양성 판정을 받았다고 밝혔습니다.
농식품부는 럼피스킨 확산 방지를 위해 해당 농장에 초동방역팀과 역학조사반을 파견해 외부인, 가축, 차량의 농장 출입을 통제하고 역학조사와 살처분을 실시하고 있습니다.
한편, 국내에서는 지난해 10월 충남 서산시 소재 한우농장에서 최초 발생한 가운데, 당시 대성미생물은 럼피스킨병 관련주 중 가장 강한 상승세를 보이며 대장주 움직임을 보인 적이 있습니다.
대성미생물은 동물의약품 전문 기업이기 때문에 럼피스킨병 최초 발생 당시 9,000원대에서 18,880원까지 강한 상승세를 보였으며, 다른 럼피스킨병 관련주로는 이글벳, 우진비앤지, 중앙백신, 체시스, 우정바이오 등이 있습니다.(자세한 내용은 아래 글 참고)
대성미생물 주가 전망
대성미생물 주가 일봉차트를 체크해보면 지난 8월 5일 증시 폭락 당시 8,460원까지 주가가 하락했지만 이내 다시 주가를 회복했고, 9월 중순 이후로는 큰 움직임을 보이지 않은 가운데 주가가 9,000원대에서 머무르고 있습니다.
현재 주가 위로 매물 부담이 강하게 남아 있기는 하지만 최근 워낙 거래량이 없었기 때문에 100만주 정도 거래량이라도 위 매물대 저항을 어느 정도 소화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됩니다.
우리나라 증시가 휴장한 3일, 럼피스킨병 발병 소식에 관련주로 모멘텀을 받는다면 매물대 저항을 뚫을 가능성이 있습니다.
다만, 이 저항을 완벽히 소화하지 못한다면 단기 차익실현 물량과 함께 주가 조정이 나타날 수 있고, 주가 조정 시 지난 8월초 저점과 9월 중순 저점을 연결한 추세선을 종가 기준으로 이탈한다면 비교적 강한 하락이 나올 우려가 있어 추세선 이탈 여부는 지속적으로 체크 할 필요가 있습니다.
대성미생물 주가 주봉차트를 보면 최근 주가가 서서히 반등세를 보이고 있기는 하지만 미미한 수준이고, 11,600원 부근까지는 비교적 중장기 매물대 저항이 강하게 남아 있는 것을 볼 수 있습니다.
럼피스킨병 대장주 및 동물 관련 바이러스로 인해 모멘텀을 받아야 거래량이 실리면서 저항을 소화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되는데, 대성미생물이 이번 럼피스킨병 발병과 관련해 다시 한 번 모멘텀을 받을 수 있을지 투자자들의 관심도가 높아지고 있습니다.
다만, 지난해 럼피스킨병 발병은 국내 최초 사례였기 때문에 지난해와 같은 엄청난 폭등세를 기대하기는 어려울 것으로 보고 있습니다.
기술적으로 접근한다면, 만일 이번 럼피스킨병 관련주로 모멘텀을 받을 경우 11,600원 부근까지의 중장기 매물대 저항을 소화하는지, 소화한다면 이를 지지라인으로 인식하는지 정도를 체크해보면 좋을 것 같습니다.
반면에, 이를 완벽히 돌파하지 못한다면 언제든 하락이 나올 수 있고, 만일 관련 모멘텀으로 주가 변동이 1도 없을 경우에는 매물대 하단인 9,550원 부근 정도를 손절라인으로 설정할 수 있습니다.
또한 현 구간에서 접근 후 9,550원 부근 이탈 후 추가진입까지 고려한다면 지난 8월 증시 폭락 당시 저점이었던 8,460원을 중장기 손절라인으로 설정해 대응하는 방법을 고려해 볼 수 있을 것으로 보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