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목차
1월 23일은 축산물 B2B 직거래 온라인 플랫폼 전문 기업 미트박스글로벌 상장일 입니다. 2025년 첫 신규상장 주식입니다.
미트박스글로벌은 어떤 기업이고, 수요예측과 공모청약 경쟁률 등을 바탕으로 공모주 상장일, 공모가를 넘어설 수 있을지 종합적으로 체크해 보도록 하겠습니다.
미트박스글로벌(475460)은 어떤 기업?
미트박스글로벌은 축산물 B2B 직거래 온라인 플랫폼 전문 기업으로 기존의 복잡한 축산물 유통구조를 온라인 플랫폼으로 옮겨 직거래가 가능하도록 도와주는 기업입니다.
미트박스 플랫폼에서 활동하는 고객 데이터와 축산 시장 관련 데이터, 국내외 축산 현황을 종합적으로 분석해 예측 데이터를 제공하는 플랫폼 기업입니다.
유통사는 데이터 관리에 소요되는 시간을 절감할 수 있는데, 생산, 판매, 마케팅 등 축산 유통 프로세스 전반에서 전략 수립과 실행 지원하는 것을 목표로 합니다.
MIT를 모바일화하고, ChatGPT를 활용한 음성 AI(인공지능) 기능을 도입했으며, 요약분석, 현황분석, 시장트렌드분석, 유형분석, 예측분석 등을 제공하고 있습니다.
미트박스글로벌 관련주는 있을까
미트박스글로벌 지분구조상 관련주는 없습니다.
미트박스글로벌은 상장 후 축산물 관련주, 구제역 관련주, 빅데이터 관련주 등으로 테마군을 형성할 수 있을 것으로 보입니다.
미트박스글로벌 실적(재무제표)
미트박스글로벌 실적을 체크해보면 지난해 3분기 기준 약 802억원의 매출과 22억원의 영업이익, 19억원의 당기순이익을 기록했습니다.
미트박스글로벌의 매출은 지난 2021년 321억원, 2022년 552억원, 지난해 669억원으로 가파른 성장세를 보이고 있는데, 특히 지난 2022년 흑자 전환에 성공하고 지난해 26억원의 영업이익을 거둔 것으로 알려져있습니다.
미트박스글로벌 공모와 공모가
미트박스글로벌은 이번 상장 공모로 총 100만 주를 100% 신주모집으로 공모하고, 공모가는 19,000원으로 확정되었습니다.
미트박스글로벌 공모가 산정 과정이었던 수요예측 과정을 체크해 보도록 하겠습니다.
미트박스글로벌 수요예측 결과
미트박스글로벌는 지난 1월 2일부터 8일까지 5일간 1,988곳의 국내외 기관투자자가 참여한 수요예측에서 849.95대1의 수요예측 경쟁률을 기록했습니다.
수요예측에 참여한 1,988곳 중 423곳이 미트박스글로벌 측이 제시한 공모가 밴드(19,000 ~ 23,000원) 하단 미만으로 공모가를 적어냈고, 1,455곳이 공모가 밴드 하단을 적어냈을 정도로 수요예측은 흥행에 실패했습니다.
결국 미트박스글로벌 공모가는 밴드 최하단인 19,000원으로 확정되었고, 1월 13일부터 14일까지 공모주 청약을 진행했습니다.
미트박스글로벌 공모 청약 경쟁률
미트박스글로벌은 이번 상장 공모주 100만주 가운데, 75%(750,000주)를 기관투자자에게, 25%(250,000주)를 일반투자자에게 최초 배정했고, 이대로 최종 배정 및 납입까지 완료되어 상장일을 앞두고 있습니다.
지난 1월 13일부터 14일까지 이틀간 미래에셋증권을 통해 진행된 일반 공모주 청약에서 459.06대1(비례 918대1)의 청약 경쟁률을 기록했습니다.
총 89,968건의 청약이 접수되었고, 청약 증거금이 1조 903억원 가량 모였을 만큼 수요예측에 비해 일반 청약은 어느 정도 흥행에 성공했습니다.
미트박스글로벌 기관투자자 의무보유 확약 기간별 배정 현황
미트박스글로벌 공모주 기관투자자 의무보유 확약 기간별 배정 현황을 살펴보면 기관투자자에게 배정된 75만주 100% 모두 보호예수 미확약 물량입니다.
의무보유 미확약 물량이 많기 때문에, 이는 미트박스글로벌 상장일 주가 상승에 리스크로 작용할 수 있습니다.
미트박스글로벌 주요 제품별 매출 현황
미트박스글로벌 주요 제품별 매출 현황을 살펴보면 지난해 3분기 기준, PB 외 상품 매출이 전체 매출의 46.34%인 약 372억원, PB 상품 매출이 22.66%인 약 182억원, 중개매출이 28.77%인 약 231억원 가량으로 나타납니다.
플랫폼에서 판매되는 축산물의 가격은 수급 현황 및 거래처의 규모별, 품목별, SKU별로 판매가격이 조정되기 때문에 많은 경우의 수가 발생합니다.
미트박스글로벌 최대주주
미트박스글로벌 최대주주는 김기봉 대표이사외 특수관계인 5인으로 이번 공모 후 21.11%(1,173,450주)입니다.
이 외에도 1% 이상 지분을 보유하고 있는 주주 명단은 위와 같습니다.
미트박스글로벌 상장일, 최대 주가는 얼마?
미트박스글로벌 공모주 상장일 시초가는 공모가(19,000원)의 60~400% 사이에서 결정됩니다.
즉, 미트박스글로벌 상장일 시초가는 11,400 ~ 76,000원 사이에서 결정되고, 상장일 최대 주가는 76,000원까지 상승할 수 있습니다.
미트박스글로벌 공모주 상장일, 공모가 넘길 수 있을까
미트박스글로벌은 이번 상장 공모자금을 시설자금과 운영자금, 타법인증권 취득자금 등으로 사용할 예정입니다.
특히 올해 Smart AI 물류 인프라 투자 등 시설 자금에 약 51억원, 식육포장처리업체 인수 및 투자에 약 55억원 가량을 사용할 예정으로 인수 대상 기업은 확정되지 않았습니다.
미트박스글로벌은 수요예측에서 흥행에 실패했지만 공모가를 크게 낮추면서 일반 공모주 청약에서는 어느 정도 흥행에 성공했습니다.
다만, 기관투자자에게 배정된 물량 100% 모두 의무보유 미확약 물량이기 때문에 미트박스글로벌 상장일 전체적인 시장 상황이 좋지 못하고, 이 물량이 한꺼번에 쏟아진다면 공모가를 이탈할 가능성도 분명 존재합니다.
물론, 일반 청약에서 흥행에 성공했고, 2025년 첫 신규상장주라는 프리미엄 등으로 인해 기대감이 몰려 공모가를 넘길 가능성이 비교적 크지만, 기관 의무보유 미확약 물량이 많기 때문에, 주가 하락에 대한 리스크는 상장일 계속해서 가지고 있을 것으로 보입니다.
미트박스글로벌 공모주 청약 받으신 분들을 위해서라도 상장일 공모가를 넘어 강한 상승 나오길 바라며, 향후 상장 프리미엄이 제거되고, 차트 추세가 만들어진다면 기술적분석 등을 통해 미트박스글로벌에 대한 포스팅을 다시 진행하도록 하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