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신규상장 기업 알리미

아이지넷 상장일, 공모가 넘길 수 있을까

by 주소남 2025. 2. 3.

목차

    2월 4일은 인공지능(AI) 기반 인슈어테크 기업 아이지넷 상장일 입니다.

     

    아이지넷은 어떤 기업이고, 수요예측과 공모청약 경쟁률 등을 바탕으로 공모주 상장일, 공모가를 넘어설 수 있을지 종합적으로 체크해 보도록 하겠습니다.

     

    아이지넷(462980)은 어떤 기업?

    아이지넷 공모주
    <출처 : 아이지넷 홈페이지>

     

    아이지넷은 인공지능(AI) 기반 인슈어테크 기업으로 2019년 보험 진단 앱 '보닥'을 출시한 뒤 2021년 마이데이터 본허가 승인을 기점으로 개인화된 보험 진단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는 기업입니다.

     

    보험업의 디지털 전환을 지원하는 기업용 보험 솔루션 '마이리얼플랜' 및 '클락패스'로까지 사업을 확대하기도 했습니다.

    아이지넷
    <출처 : 아이지넷 홈페이지>

     

    주요 제품에는 기업과 소비자 간 거래(B2C) 플랫폼 보닥과 '마이리얼플랜', 마이데이터 연계 솔루션 '클락패스' 등이 있습니다.

     

    보닥은 보험 진단 및 추천 플랫폼으로 누적 다운로드 175만을 돌파한 인슈어테크 플랫폼이고, 마이리얼플랜은 가입한 상품 전체에 대한 보장내역을 분석해 평가하는 서비스를 제공하는 엔진 브랜드입니다.

     

    아이지넷 관련주는 있을까

    아이지넷 지분 구조

     

    아이지넷 지분구조상 관련주는 증권신고서 제출일 기준 지분 6.78%(1,109,600주)를 보유하고 있는 코스닥 상장사 우리기술투자(041190)와 2019 SBI 일자리 창출 펀드를 통해 지분 5.77%(944,360주)를 간접 보유하고 있는 SBI인베스트먼트(019550), 각각 하나증권과 우리은행을 통해 지분 5.17%(847,320주), 5.18%(848,672주)를 보유하고 있는 하나금융지주(086790)와 우리금융지주(316140) 등을 체크해 볼 수 있습니다.

     

    아이지넷은 상장 후 보험 관련주, AI 관련주, 마이데이터 관련주 등으로 테마군을 형성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됩니다.

     

    아이지넷 실적(재무제표)

    아이지넷 실적

     

    아이지넷 실적을 체크해보면 지난해 3분기 기준 약 171억원의 매출과 3.6억원의 영업이익, 1.1억원의 당기순이익을 기록했지만, 그 전까지는 적자가 이어지고 있었습니다.

     

    아이지넷은 올해와 내년 매출이 각각 418억원, 768억원을 기록할 것으로 전망하고 있고, 지난해 3분기엔 누적기준 171억원을 달성하며 영업이익 흑자전환에 성공하는 등 최근 3개년 연평균 매출성장률이 120%에 육박하고 있다는 점은 긍정적입니다.

     

    아이지넷 공모와 공모가

    아이지넷 공모가

     

    아이지넷은 이번 상장 공모로 총 200만주를 100% 신주모집으로 공모하고, 공모가는 7,000원으로 확정되었습니다.

     

    아이지넷 공모가 산정 과정이었던 수요예측 과정을 체크해 보도록 하겠습니다.

    아이지넷 수요예측 결과

    아이지넷 수요예측

     

    아이지넷은 지난 1월 9일부터 15일까지 5일간 2,097곳의 국내외 기관투자자가 참여한 수요예측에서 1,138.59대1의 수요예측 경쟁률을 기록했습니다.

    아이지넷 수요예측표

     

    수요예측에 참여한 2,097곳 중 135곳이 아이지넷 측이 제시한 공모가 밴드(6,000 ~ 7,000원) 상단 초과로 공모가를 적어냈고, 1,882곳이 공모가 밴드 상단을 적어냈을 정도로 수요예측은 흥행에 성공했습니다.

     

    결국 아이지넷 공모가는 밴드 최상단인 7,000원으로 확정되었고, 1월 20일부터 21일까지 공모주 청약을 진행했습니다.

     

    아이지넷 공모 청약 경쟁률

    아이지넷 청약

     

    아이지넷은 이번 상장 공모주 200만주 가운데, 75%(1,500,000주)를 기관투자자에게, 25%(500,000주)를 일반투자자에게 최초 배정했고, 이대로 최종 배정 및 납입까지 완료되어 상장일을 앞두고 있습니다.

     

    지난 1월 20일부터 21일까지 이틀간 한국투자증권을 통해 진행된 일반 공모주 청약에서 145.99대1(비례 292대1)의 청약 경쟁률을 기록했습니다.

     

    72,997,430주가 신청 되었고, 청약 증거금은 약 2,555억원 가량 모였습니다.

     

    같은 날 청약을 진행했던 피아이이(일반 청약 경쟁률 82.88대1, 증거금 약 1,865억원)에 비해서는 경쟁률도 높고, 청약증거금도 많이 모였지만 전체적인 투자심리 악화로 인해 큰 성공을 거두었다고 보기는 조금 어렵습니다.

     

    아이지넷 기관투자자 의무보유 확약 기간별 배정 현황

    아이지넷 보호예수

     

    아이지넷 공모주 기관투자자 의무보유 확약 기간별 배정 현황을 살펴보면 기관투자자에게 배정된 1,500,000주 가운데, 96.35%인 1,445,279주가 상장 후 보호예수 미확약 물량입니다.

     

    의무보유 확약 내역을 살펴보면 1개월 확약 물량이 0.65%(9,781주), 6개월 확약 물량이 3%(44,940주)로 나타납니다.

     

    사실상 기관투자자에게 배정된 물량 대부분이 아이지넷 상장일 매도될 수 있는 의무보유 미확약 물량이기 때문에 이는 아이지넷 상장일 주가 상승에 리스크로 작용할 수 있습니다.

    아이지넷 주요 제품별 매출 현황

    아이지넷 주요 제품별 매출 현황

     

    아이지넷 주요 제품별 매출 현황을 살펴보면 지난해 3분기 기준, B2C 플랫폼인 보닥 매출 비중이 전체 매출의 73.7%(약 36억원)으로 나타나고, B2B 솔루션인 마이리얼플랜 매출이 25.4%(약 12억원)으로 나타납니다.

     

    아이지넷 최대주주

    아이지넷 최대주주

     

    아이지넷 최대주주는 김창균 대표이사 외 자사주를 포함한 특수관계인 4인으로 이번 공모 후 26%(4,740,624주)의 지분율을 보유하게 됩니다.

     

    이 외에도 더벤처스와 우리기술투자, 인터베스트그로스세컨더리펀드, 2019 SBI 일자리 창출 펀드, 인터베스트창업초기투자조합, 하나증권, 우리은행 등이 위와 같이 지분율을 보유하고 있습니다.

     

    아이지넷 상장일, 최대 주가는 얼마?

     

    아이지넷 공모주 상장일 시초가는 공모가(7,000원)의 60~400% 사이에서 결정됩니다.

     

    즉, 아이지넷 상장일 시초가는 4,200 ~ 28,000원 사이에서 결정되고, 상장일 최대 주가는 28,000원까지 상승할 수 있습니다.

     

    아이지넷 공모주 상장일, 공모가 넘길 수 있을까

    아이지넷 공모자금

     

    아이지넷은 이번 상장 공모자금을 운영자금과 타법인 증권 취득 자금에 활용할 예정입니다.

     

    특히 베트남의 A사와 B사, 국내 GA 출자 등으로 인해 올해부터 내년까지 약 45억원 가량을 타법인 증권 취득 자금으로 활용할 예정입니다.

     

    아이지넷은 수요예측에서 흥행에 성공했지만 일반 공모주 청약에서는 큰 흥행 성공을 거두지는 못했습니다.

     

    더군다나 상장을 하루 앞두고 증시가 폭락하면서 투자심리가 좋지 않은 때에 상장하기 때문에 아이지넷 기관투자자에게 배정된 물량 등이 상장일 대부분 매도된다면 공모가 아래로 주가가 충분히 내려올 가능성도 있습니다.

     

    아이지넷 공모주 청약 받으신 분들을 위해서라도 상장일 공모가를 넘어 강한 상승 나오길 바라며, 향후 상장 프리미엄이 제거되고, 차트 추세가 만들어진다면 기술적분석 등을 통해 아이지넷에 대한 포스팅을 다시 진행하도록 하겠습니다.

     

    또한 같은 날 상장하는 피아이이 상장 관련 정보는 아래 글을 참고하시길 바랍니다.

     

    피아이이 상장일, 공모가 넘길까

    2월 4일은 AI(인공지능) 소프트웨어(SW) 전문 기업 피아이이 상장일 입니다. 피아이이는 어떤 기업이고, 수요예측과 공모청약 경쟁률 등을 바탕으로 공모주 상장일, 공모가를 넘어설 수 있을지 종

    kakao777.tistory.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