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목차
1월 24일은 AI 에이전트 전문 기업 와이즈넛 상장일 입니다.
와이즈넛은 어떤 기업이고, 수요예측과 공모청약 경쟁률 등을 바탕으로 공모주 상장일, 공모가를 넘어설 수 있을지 종합적으로 체크해 보도록 하겠습니다.
와이즈넛(096250)은 어떤 기업?
와이즈넛은 AI 에이전트 전문 기업으로 각종 산업에 AI 기술을 적용, 융합하는 융합산업 중 '자연어처리기술 기반 AI 플랫폼(NLP-based AI Platform)' 대표 기업입니다.
동종 업계 내 유일한 흑자 기업으로 12년 연속 흑자 경영을 통해 재무적 안정성을 갖출 뿐만 아니라, 다양한 기관에서 AI 기술력을 인정받으며 탄탄한 내,외형 성장을 이루고 있었는데, 아쉽게도 지난해 3분기까지 영업 적자와 당기순손실을 기록했습니다.(아래 실적 참고)
최근 국내 최초 검색증강생성(RAG) 솔루션 '와이즈 아이랙(WISE iRAG)'을 통해 AI 챗봇, AI 상담 등 각 도메인에 특화된 성공 사례를 확보하기도 했습니다.
WISE iRAG를 통해 문서 요약, 핵심 정보 추출 등 고도화된 검색 기능을 지원하고, 대규모언어모델(LLM)의 주요 한계인 부정확한 정보 생성을 방지합니다.
와이즈넛 관련주는 있을까
와이즈넛 지분구조상 관련주는 자회사 솔본인베스트먼트를 통해 증권신고서 제출일 기준 지분 15.76%(1,912,500주)를 간접 보유하고 있는 코스닥 상장사 솔본(035610)을 체크해 볼 수 있습니다.
와이즈넛은 상장 후 AI 관련주, 플랫폼 관련주, 전자문서 관련주 등으로 테마군을 형성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됩니다.
와이즈넛 실적(재무제표)
와이즈넛 실적을 체크해보면 2021년부터 2023년까지 3년 연속 영업이익 흑자 기조를 이어갔지만 지난 한 해 약 29억원의 영업손실과 17억원의 당기순손실을 기록했습니다.
지난해 3분기까지 연간 매출은 215억원, 영업손실은 29억원, 순손실은 17억원이었는데, 매출이 연말에 집중되는 경향이 있어 연간으로 보면 흑자 기록을 이어갈 가능성이 크다고 합니다.
기술 특례 제도를 통해 상장하는 기업들은 대부분 적자가 이어지는 기업이 많은데, 와이즈넛은 이러한 부분에서 플러스 요인이 있지 않을까 싶습니다.
와이즈넛 공모와 공모가
와이즈넛은 이번 상장 공모로 총 90만주를 100% 신주모집으로 공모하고, 공모가는 17,000원으로 확정되었습니다.
와이즈넛 공모가 산정 과정이었던 수요예측 과정을 체크해 보도록 하겠습니다.
와이즈넛 수요예측 결과
와이즈넛은 지난 1월 3일부터 9일까지 5일간 370곳의 국내외 기관투자자가 참여한 수요예측에서 64.85대1의 수요예측 경쟁률을 기록했습니다.
수요예측에 참여한 370곳 중 338곳이 와이즈넛 측이 제시한 공모가 밴드(24,000 ~ 26,000원) 하단 미만으로 공모가를 적어냈고, 12곳이 공모가 밴드 하단을 적어냈을 정도로 수요예측은 흥행에 실패했습니다.
결국 와이즈넛 공모가는 밴드 최하단에도 미치지 못하는 17,000원으로 하향 확정되었고, 1월 15일부터 16일까지 공모주 청약을 진행했습니다.
와이즈넛 공모 청약 경쟁률
와이즈넛은 이번 상장 공모주 90만주 가운데, 5%(45,000주)를 우리사주조합에, 70%(630,000주)를 기관투자자에게, 25%(225,000주)를 일반투자자에게 최초 배정했고, 이대로 최종 배정 및 납입까지 완료되어 상장일을 앞두고 있습니다.
지난 1월 15일부터 16일까지 이틀간 삼성증권을 통해 진행된 일반 공모주 청약에서 10.17대1(비례 20대1)의 청약 경쟁률을 기록했습니다.
총 11,054명이 청약에 참가했고, 청약 증거금이 194억원에 그쳤을 만큼 수요예측에 이어 일반 공모주 청약에서도 흥행에 실패했습니다.
와이즈넛 기관투자자 의무보유 확약 기간별 배정 현황
와이즈넛 공모주 기관투자자 의무보유 확약 기간별 배정 현황을 살펴보면 기관투자자에게 배정된 63만주 가운데, 95.3%인 600,419주가 상장 후 의무보유 미확약 물량입니다.
의무보유 확약 내역을 살펴보면 6개월 확약 물량이 4.7%(29,581주)로 나타납니다.
기관투자자에게 배정된 물량 중 95% 이상이 보호예수 미확약 물량이기 때문에 이는 와이즈넛 상장일 주가 상승에 리스크로 작용할 수 있습니다.
와이즈넛 주요 제품별 매출 현황
와이즈넛 주요 제품별 매출 현황을 살펴보면 자체 기술로 개발한 자연어처리, 질의어 분석, 형태소 분석 등의 기술을 적용한 초대용량 빅데이터에 최적화된 인공지능 검색솔루션인 'Search Formula-1, WISE Referee', 'WISE MinAX', 'WISE Link' 등의 매출 비중이 지난해 3분기 기준 전체 매출의 40.33%(약 87억원)으로 나타납니다.
또한 자체 개발한 자연어처리기술과 머신러닝, 텍스트마이닝, 의미분석 및 검색 등이 복합적으로 융합된 인공지능 챗봇 솔루션인 'WISE iChat', 'WISE iRAG', 'WISE iDesk', 'WISE TextMiner', 'WISE TEA', 'WISE Classifier' 매출 비중이 전체 매출의 25.88%(약 56억원) 가량 발생했습니다.
와이즈넛 최대주주
와이즈넛 최대주주는 윤여결 기타비상무이사 외 특수관계인 20인으로 이번 공모 후 28.43%(3,714,601주)의 지분율을 보유하게 됩니다.
이 외에도 솔본인베스트먼트와 안광일씨가 각각 14.64%(1,912,500주), 5.13%(670,000주)의 지분율을 보유하고 있습니다.
와이즈넛 상장일, 최대 주가는 얼마?
와이즈넛 공모주 상장일 시초가는 공모가(17,000원)의 60~400% 사이에서 결정됩니다.
즉, 와이즈넛 상장일 시초가는 10,200 ~ 68,000원 사이에서 결정되고, 상장일 최대 주가는 68,000원까지 상승할 수 있습니다.
와이즈넛 공모주 상장일, 공모가 넘길 수 있을까
와이즈넛은 수요예측에서 흥행에 실패하며 공모가를 크게 낮췄지만 일반 공모주 청약에서도 흥행에 실패하며 상장일 주가 상승에 대한 기대감이 많이 낮아졌습니다.
전체적인 시장 하락과 함께 기관투자자에게 배정된 물량 중 95% 이상이 보호예수 미확약 물량이기 때문에, 이 물량이 한꺼번에 쏟아질 경우 와이즈넛 상장일 공모가를 이탈할 가능성도 분명 있습니다.
와이즈넛 공모주 청약 받으신 분들을 위해서라도 상장일 공모가를 넘어 강한 상승 나오길 바라며, 향후 상장 프리미엄이 제거되고, 차트 추세가 만들어진다면 기술적분석 등을 통해 와이즈넛에 대한 포스팅을 다시 진행하도록 하겠습니다.
같은 날 상장하는 아스테라시스와 데이원컴퍼니 상장 관련 정보는 아래 글을 참고하시길 바랍니다.
아스테라시스 상장일, 공모가 넘길까
1월 24일은 미용 의료기기 전문기업 아스테라시스 상장일 입니다. 아스테라시스는 어떤 기업이고, 수요예측과 공모청약 경쟁률 등을 바탕으로 공모주 상장일, 공모가를 넘어설 수 있을지 종합
kakao777.tistory.com
데이원컴퍼니 상장일, 공모가 넘길 수 있나
1월 24일은 글로벌 성인 교육 컨텐츠 기업 데이원컴퍼니 상장일 입니다. 데이원컴퍼니는 어떤 기업이고, 수요예측과 공모청약 경쟁률 등을 바탕으로 공모주 상장일, 공모가를 넘어설 수 있을지
kakao777.tistory.com